본문 바로가기

ㄴ 으로 시작하는 사자성어(四字成語), 고사성어

2022. 3. 19.

728x90

*은 고사성어임

낙락장송(落落長松) : 오래되어 가지가 축축 늘어진 키 큰 소나무. 지조와 절개를 지키는 충신

낙 백(落魄) : *혼백이 땅에 떨어진다는 말로, 뜻을 얻지 못한 처지에 있는 사람을 뜻함

낙양지귀(洛陽紙貴) : *낙양의 지가를 올린다는 뜻. 곧 저서가 호평을 받아 베스트셀러가 됨

낙정하석(落井下石) : *우물 아래에 돌을 떨어뜨림. 다른 사람이 재앙을 당하면 도와주기는 커녕 오히려 더 큰 재앙이 닥치도록 하는 것을 말함

낙화유수(落花流水) : 세월의 쇠잔영락함 또는 남녀가 서로 그리워하는 정을 비유하는 말

난공불락(難攻不落) : 장애물이 너무나 견고해서 일을 이루기 어려움을 나타내는 말.

난신적자(亂臣賊子) : 나라를 어지럽게 하는 신하와 부모에게 거역하는 자식.

난의포식(暖衣飽食) : *따뜻한 옷에 음식을 배불리 먹음. 생활에 부자유스러움이 없음을 뜻함

난형난제(難兄難弟) : *우열을 가리기 어려움, 옳고 그름을 분간하기 어려움. 백중지간(伯仲之間)

남가일몽(南柯一夢) : *꿈과 같이 헛된 한 때의 부귀영화. 한단지몽(邯鄲之夢)

남귤북지(南橘北枳) : *남쪽의 귤이 북쪽에서는 탱자가 됨. 사람은 처한 상황에 따라 성품이 변함

남남북녀(南男北女) : 남쪽은 남자가 준수하고, 북쪽은 여자가 아름답다.

남녀유별(男女有別) : 남자와 여자는 각각의 예(禮)로 구별해야 함

남부여대(男負女戴) : '남자는 지고, 여자는 머리에 인다', 가난한 사람이 살 곳 찾아 떠돌아다님

남 상(濫觴) : *어떤 사물이나 일의 시작을 의미함. 효시(嚆矢)

남원북철(南轅北轍) : *수레의 긴 채는 남쪽으로 가고 바퀴는 북쪽으로 간다는 말로, 행동이 마음과 일치하지 않음.

남전생옥(藍田生玉) : *남전은 아름다운 옥이 산출되듯이 명문가에서 훌륭한 인물이 나온다는 뜻

남 취(濫吹) : *함부로 불다. 엉터리로 불다.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거나 실력이 없는 사람이 높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

남풍불경(南風不競) : *남방의 풍악은 굳세지 않다는 말로, 어떤 나라에서 불리는 노래나 풍속을 보면 대체로 기세나 힘이 있고 없음을 알 수 있다는 것임

낭자야심(狼子野心) : *늑대 새끼는 작아도 흉포한 성질이 있어 길들이기가 어렵다. 흉포한 사람의 마음은 교화하기 힘들다

낭중지추(囊中之錐) : *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남의 눈에 드러난다.

낭 패(狼狽) : *다리 없는 두 마리의 이리가 처한 곤경. 조급한 나머지 다급하여 조치를 잘못함

내우외환(內憂外患) : *나라 안팎의 여러 가지 근심과 걱정

내유외강(內柔外剛) : 겉으로는 강하나 속 마음은 부드러움. (반) 외유내강(外柔內剛)

내조지공(內助之功) : *안에서 돕는 공. 아내가 가정에서 남편이 바깥일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줌

노갑이을(怒甲移乙) : 어떤 사람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다른 사람에게 화풀이함.

노류장화(路柳墻花) : 아무나 꺾을 수 있는 길가의 버들이나 담 밑의 꽃. 娼女를 가리키는 말

노마지지(老馬之智) : *늙은 말의 지혜. 하찮은 것일지라도 저마다 장기나 장점을 지니고 있음

노발대발(怒發大發) : 대단히 노함. (비) 노발충관(怒發衝冠)

노생상담(老生常譚) : *늙은 서생이 하는 이야기. 새롭고 독특한 의견을 제시하지 않고 언제나 똑같은 상투적인 이야기를 할 때 사용함

노심초사(勞心焦思) : 매우 애쓰며 속을 태움. (비) 초심고려(焦心苦慮)

노이무공(勞而無功) : *애는 썼으나 애를 쓴 보람이 없음. 수고만 하고 아무런 공이 없음

노익장(老益壯) : *늙었지만 의욕이나 기력은 점점 좋아짐. 또는 그런 상태

녹 림(綠林) : *푸른 숲이란 뜻으로, 도둑 떼의 소굴을 일컫는 말.

녹림호걸(綠林豪傑) : *도둑이나 불한당을 부르는 별칭.

녹의홍상(綠衣紅裳) : 연두 저고리에 다홍치마. 젊은 여자의 곱게 치장한 복색.

논공행상(論功行賞) : *공이 크고 작음을 논하여 상을 주는 것

농 단(壟斷) : *높이 솟아 있는 언덕이란 뜻. 곧 재물이나 이익을 독점함

농 락(籠絡) : *남을 제 마음대로 이용함
농와지경(弄瓦之慶) : 딸을 낳은 경사. 옛날에 딸을 낳으면 실패(瓦)를 주던 풍습에서 유래됨.

(반) 농장지경(弄璋之慶) 아들을 낳으면 구슬(璋)을 주던 풍습에서 유래됨.

누란지위(累卵之危) : *포개어 놓은 달걀과 같이 위험함. (비) 누란지세(累卵之勢)

능서불택필(能書不擇筆) : *글씨를 잘 쓰는 사람은 붓을 가리지 않음. 곧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쓰는데 종이나 붓 따위의 재료 또는 도구를 가리는 사람이라면 서화의 달인이라고 할 수 없다는 말

니 취(泥醉) : *술에 취해 진흙처럼 흐느적거린다는 뜻으로, 몹시 술에 취한 상태를 이르는 말

다기망양(多岐亡羊) : 학문의 길은 여러 갈래여서 올바른 길을 찾기가 어렵다는 것을 표현한 말.

다다익선(多多益善) : 많을수록 좋음.

단금지교(斷金之交) : 쇠를 자를 정도로 매우 절친한 친구사이. 단금지계(斷金之契)

단기지계(斷機之戒) : 짜던 베도 도중에 자르면 쓸모없이 되듯이, 학문도 꾸준히 해야 함.

단도직입(單刀直入) : 문장이나 말에 있어 요점을 바로 풀이하여 들어감. 혼자서 적진으로 돌격함.

단사표음(簞食瓢飮) : 도시락 밥과 표주박의 물. 소박하고 청빈한 생활. 食 : 먹을 사

단순호치(丹脣皓齒) : 붉은 입술과 하얀 이. 여인의 아름다운 얼굴

당구풍월(堂狗風月) : 무슨 일을 오래 보고 들으면 자연히 할 줄 알게 됨.

당랑거철(螳螂拒轍) : 제 분수도 모르고 강적에게 반항함.

대경실색(大驚失色) : 대단히 놀라 얼굴빛을 잃음.

대기만성(大器晩成) :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진다는 뜻.

대담무쌍(大膽無雙) : 대담한 것을 따져봤을 때 그와 상대할 만한 사람이 없다.

대동소이(大同小異) : 거의 같고 조금 다름.

대의명분(大義名分) : 사람으로서 당연히 지켜야 할 도리와 본분.

덕필유린(德必有隣) : 덕이 있으면 반드시 이웃이 있다는 말로 덕을 베푼 사람은 외롭지 않음.

도원결의(桃園結義) : 큰 일을 도모하기 위해 뜻이 맞는 사람들끼리 서로 의리로서 맺는 일.

도청도설(道聽塗說) : 말을 들으면 깊이 생각하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전해버리는 경솔한 언행. 또는 근거 없이 떠도는 소문을 뜻함

도탄지고(塗炭之苦) : 백성들이 몹시 고생스러움 (비) 민생도탄(민생도탄)

독불장군(獨不將軍) : 따돌림을 받는 외로운 사람. 무엇이나 혼자 처리하는 사람.

독서상우(讀書尙友) : 독서를 통해 옛 선현과 사상적인 공감을 하여 살아있는 인물과 사귀듯 함.

동가홍상(同價紅裳) : 이왕이면 보기 좋은 것을 골라 가진다는 말.

동문서답(東問西答) : 이리저리 바삐 쏘다니는 것. (비) 동치서주, 동행서주

동병상련(同病相憐) : 비슷한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잘 이해해 줌.

동분서주(東奔西走) : 이리저리 바쁘게 돌아다님

동상이몽(同床異夢) : 같은 처지에서 서로 딴 생각을 함 (비) 동상각몽(동상각목)

동족방뇨(凍足放尿) : 일시적인 도움은 될지 모르나 그 효력이 오래가지 않음. 언발에 오줌 누기

두문불출(杜門不出) : 집 안에만 박혀 있어 세상 밖으로 나가지 않음.

두주불사(斗酒不辭) : 술을 매우 잘 마셔 말술도 사양하지 아니한다. 사나이다움의 과시 표현

등고자비(登高自卑) : 높은 곳에 오르기 위하여는 낮은 곳부터 밟아야 함. = 천리길도 한걸음부터

등용문(登龍門) : 잉어가 용문에 오른다는 뜻으로, 입신출세의 어려운 관문을 비유함

등하불명(燈下不明) : 제게 가까운 일은 먼 데 일보다 오히려 모른다. 등잔 밑이 어둡다.

등화가친(燈火可親) : 가을은 독서의 계절. &lt:韓愈 符讀書城南詩&gt:

마부위침(磨斧爲針) :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듦. 포기했던 학문을 계속하여 완성함.(李白)

마이동풍(馬耳東風) : 남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고 흘려버리는 것 &lt:李白 蘇軾 詩&gt:

마중지봉(麻中之蓬) : 구부러진 쑥도 삼밭에 심으면 꼿꼿하게 자란다는 뜻으로, 환경에 따라 악도 선으로 고쳐짐을 말한다.

막상막하(莫上莫下) : 서로 우열을 가릴 수 없음. 난형난제(難兄難弟), 백중지세(伯仲之勢)

막역지우(莫逆之友) : 뜻이 맞아 서로 허물이 없이 지내는 친구 &lt:莊子&gt:, 지기지우(知己之友)

만경창파(萬頃蒼波) : 끝없이 너른 바다

만사휴의(萬事休矣) : 모든 일이 끝나서 더 이상 어떻게 해 볼 도리가 없음. 능사필의(能事畢矣)

만수무강(萬壽無疆) : 간강과 장수를 빌 때 쓰는 말.

만시지탄(晩時之歎) : 기회를 잃고 때가 지났음을 한탄함. (비) 후시지탄(後時之歎)

만휘군상(萬彙群象) : 온갖 일과 물건

망극지은(罔極之恩) : 부모나 임금에게 받은 가없이 큰 은혜

망년지교(忘年之交) : 나이에 상관없이 서로를 인정하고 존경하여 사귀는 것

망양지탄(亡羊之歎) : 학문의 갈래가 많아 바른 길을 잡기가 어려움

망우보뢰(亡牛補牢) :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. (비) 망양보뢰(亡羊補牢)

망운지정(望雲之情) : 타향에서 부모님을 그리워하는 자식의 애틋한 심정. 白雲孤飛, 望雲之懷

망자계치(亡子計齒) : 죽은 자식 나이 세기란 말로, 이미 지나간 일을 다시 생각해 봐야 소용없음

매란국죽(梅蘭菊竹) : 품성이 군자와 같이 고결하다고 여겨 사군자라 함

맥수지탄(麥秀之歎) : 고국의 멸망을 한탄함. 은나라 패망 후 箕子가 한탄했다는 고사에서 유래됨

맹모단기(孟母斷機) :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이 학업을 중단하고 돌아왔을 때, 짜던 베를 칼로 잘라서 훈계한 고사에서 유래

맹모삼천(孟母三遷) : 교육에는 환경이 매우 중요함. (비) 삼천지교(三遷之敎)

면종복배(面從腹背) : 앞에서는 순종하는 체하고 속으로는 딴 마음을 먹음.

명경지수(明鏡止水) : 마음이 고요하고 잡념과 가식과 허욕이 없이 깨끗함(불교에서 유래)

명실상부(名實相符) : 명성만큼이나 내실도 있어 서로 부절처럼 딱 들어맞는다는 말

명약관화(明若觀火) : 불을 보는 것처럼 분명함

명재경각(命在頃刻) : 목숨이 곧 끊어질 것 같은 위태로운 상황

명철보신(明哲保身) : 어지러운 세상에서 이치에 밝아 제 몸을 잘 보호함

모수자천(毛遂自薦) : 자기가 자기를 추천함. 조(趙)나라에서 초(楚)나라에 구원을 청할 사자를 물색할 때, 모수가 스스로 자기를 천거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

모순(矛盾) : 창과 방패. 말이나 행동의 앞뒤가 서로 맞지 않음. 자가당착(自家撞着)

목불식정(目不識丁) : 낫 놓고 ㄱ자도 모르는 사람과 같이 무식한 사람을 이름.

목불인견(目不忍見) : 몹시 딱하거나 참혹하거나 정상이 처참하여 차마 눈뜨고 볼 수 없음.

묘항현령(猫項懸鈴) :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기로, 듣기에는 좋으나 실현 불가능한 헛된 이론.

묘두현령(猫頭懸鈴), 탁상공론(卓上空論)

무릉도원(武陵桃源) : 이 세상과 따로 떨어진 아름다운 별천지(別天地)를 이름. 桃花源記 유래

무소불위(無所不爲) : 하지 못하는 일이 없다. 무소불능(無所不能)

무위도식(無爲徒食) : 하는 일이 없이 먹고 놀기만 하는 것. 유수도식(遊手徒食)

무위자연(無爲自然) : 인위(人爲)를 보탬이 없는 자연 그대로의 상태

무지막지(無知莫知) : 하는 짓이 매우 무지하고 또 우악스럽다

문경지교(刎頸之交) : 생사를 같이하여 목이 달아나도 두려워하지 않을 만큼 친한 사귐. 그런 벗

문방사우(文房四友) : 종이, 붓, 벼루, 먹

문일지십(聞一知十) : 하나를 듣고서 열 가지를 미루어 안다는 뜻으로 매우 총명함을 의미함

문전성시(門前成市) : 권세 있는 집에 찾아오는 손이 많아 시장을 이룬 것 같음. 門庭若市

문전작라(門前雀羅) : 가난하고 천해지면 문 앞에 새 그물을 쳐 놓을 정도로 방문객 발길이 끊어짐

물실호기(勿失好機) : 좋은 기회를 놓치지 않음.

물아일체(物我一體) : 물질과 나, 객관과 주관의 구별이 없이 하나가 된 경지. 物心一如, 主客一體

물외한인(物外閒人) : 세상 물정에 관여하지 않고 한가롭게 지내는 사람

미봉책(彌縫策) : 임시변통으로 이리저리 꾸며 맞추기 위한 계책. 고식지계(姑息之計)

미생지신(尾生之信) : 신의가 굳음. 우직하여 융통성 없음(춘추시대 미생이 여자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다리 밑에서 기다리다 급류에 휩쓸려 죽었다는 고사). 抱株之信

728x90

댓글